
도교육청에서는
통합형 직업교육 거점학교, 현대식 시설로 탈바꿈
- 부서명 유아특수교육과
- 등록일시 2025-03-21
통합형 직업교육 거점학교, 현대식 시설로 탈바꿈
경남교육청, 2년간 개축 공사 후 김해생명과학고에서 개소식 개최
현대적 전문 실습 공간으로 구성해 장애 학생의 직업 능력 향상 기대
경상남도교육청(교육감 박종훈)은 21일 김해생명과학고등학교에서 장애 학생의 직업 능력 향상과 사회 통합을 위해 혁신적인 교육 환경을 제공할 ‘통합형 직업교육 거점학교’를 개소했다.
통합형 직업교육 거점학교는 장애 학생의 직업교육 질을 높이고, 실무 중심의 교육을 제공하고자 설계된 학교를 말하며 교육부는 2011년 김해생명과학고를 ‘통합형 직업교육 거점학교’로 지정했다.
이에 김해생명과학고는 장애 학생이 직업교육을 통해 자립적인 삶을 살 수 있도록 돕는 현장 중심 진로 직업교육의 거점 역할하고 있다.
기존 거점학교는 2022년까지 샌드위치 패널(sandwich panel)* 건물**에서 운영되었으나, 교육부와 경남교육청의 ‘샌드위치 패널 건물 해소 현황 및 계획’에 따라 2023년 기존 건물을 철거하고 약 2년간 개축을 진행하여 2월 준공했다.
*샌드위치 패널(sandwich panel): 둘 이상의 재료를 샌드위치처럼 겹치어 붙인 패널
**김해생명과학고 내 별동 건물을 활용해 거점 직업교육 운영
개소식에는 경남교육청과 김해교육지원청 관계자, 김해생명과학고 교직원과 학생 등 30여 명이 참석했으며 개축 경과보고, 색줄 자르기, 내부 시설 관람의 순으로 진행했다.
이번에 개축한 통합형 직업교육 거점학교는 조립포장실, 바리스타실, 여가활용실 등 현대적인 전문 실습 공간으로 구성했으며 장애 학생의 직무 능력을 높이는 데 중점을 두었다.
김해생명과학고 이현범 교장은 “장애 학생이 사회에서 자립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은 교육의 중요한 역할이기에 앞으로도 장애 학생이 진로를 설계하고 미래를 그려나갈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지도하겠다”라고 말했다.
이민애 유아특수교육과 과장은 “이번 개축은 단순한 시설 개선을 넘어 장애 학생에게 산업 변화에 발맞춘 미래 인재로 성장하는 기회를 제공할 것”이라며, “경남교육청에서는 장애 학생이 더 나은 직업교육을 통해 자립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지원하겠다”라고 말했다. <끝>
보도자료와 관련하여 보다 자세한 내용이나 취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해주시기 바랍니다.
유아특수교육과 특수교육담당 장학사 심은정 ☎268-1187
경남교육청, 2년간 개축 공사 후 김해생명과학고에서 개소식 개최
현대적 전문 실습 공간으로 구성해 장애 학생의 직업 능력 향상 기대
경상남도교육청(교육감 박종훈)은 21일 김해생명과학고등학교에서 장애 학생의 직업 능력 향상과 사회 통합을 위해 혁신적인 교육 환경을 제공할 ‘통합형 직업교육 거점학교’를 개소했다.
통합형 직업교육 거점학교는 장애 학생의 직업교육 질을 높이고, 실무 중심의 교육을 제공하고자 설계된 학교를 말하며 교육부는 2011년 김해생명과학고를 ‘통합형 직업교육 거점학교’로 지정했다.
이에 김해생명과학고는 장애 학생이 직업교육을 통해 자립적인 삶을 살 수 있도록 돕는 현장 중심 진로 직업교육의 거점 역할하고 있다.
기존 거점학교는 2022년까지 샌드위치 패널(sandwich panel)* 건물**에서 운영되었으나, 교육부와 경남교육청의 ‘샌드위치 패널 건물 해소 현황 및 계획’에 따라 2023년 기존 건물을 철거하고 약 2년간 개축을 진행하여 2월 준공했다.
*샌드위치 패널(sandwich panel): 둘 이상의 재료를 샌드위치처럼 겹치어 붙인 패널
**김해생명과학고 내 별동 건물을 활용해 거점 직업교육 운영
개소식에는 경남교육청과 김해교육지원청 관계자, 김해생명과학고 교직원과 학생 등 30여 명이 참석했으며 개축 경과보고, 색줄 자르기, 내부 시설 관람의 순으로 진행했다.
이번에 개축한 통합형 직업교육 거점학교는 조립포장실, 바리스타실, 여가활용실 등 현대적인 전문 실습 공간으로 구성했으며 장애 학생의 직무 능력을 높이는 데 중점을 두었다.
김해생명과학고 이현범 교장은 “장애 학생이 사회에서 자립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은 교육의 중요한 역할이기에 앞으로도 장애 학생이 진로를 설계하고 미래를 그려나갈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지도하겠다”라고 말했다.
이민애 유아특수교육과 과장은 “이번 개축은 단순한 시설 개선을 넘어 장애 학생에게 산업 변화에 발맞춘 미래 인재로 성장하는 기회를 제공할 것”이라며, “경남교육청에서는 장애 학생이 더 나은 직업교육을 통해 자립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지원하겠다”라고 말했다. <끝>
보도자료와 관련하여 보다 자세한 내용이나 취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해주시기 바랍니다.
유아특수교육과 특수교육담당 장학사 심은정 ☎268-11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