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담당자 정보
-
- 담당부서홍보담당관
- 전화번호055-278-1793
보도자료
- 이 게시판의 게시글 공개기한은 게시일로부터 3년입니다
경남 미래교육 100년을 위한 미래교육 지원 강화
- 부서명 미래교육국
- 등록일시 2025-02-03
경남 미래교육 100년을 위한 미래교육 지원 강화
미래교육국, 융합교육 강화·자유로운 토론 문화 구축·체험 중심 예술 교육 실현
지속 가능한 미래 식생활 실현·(가칭)경남생태환경교육원 설립 본격 추진
경상남도교육청(교육감 박종훈)은 3일 경남교육청 브리핑룸에서 2025년 미래교육국 업무 설명회를 열고 “경남 미래교육 100년을 준비하기 위한 미래교육 지원을 강화하겠다”라고 밝혔다.
1. 미래를 여는 융합교육 지원 강화
학생들의 디지털 기술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기 위하여 인공지능 교육 체험 프로그램과 인공지능 정보 교육 중심 학교를 운영하고, 창의 융합형 정보교육실을 구축하여 학교 디지털 교육 격차를 해소할 계획이다.
인공지능 디지털 교과서(AIDT, Artificial Intelligence Digital Textbook) 선도학교와 연구학교를 운영하여 교원의 디지털 역량을 강화하고 디지털 교육 전환에 대비하는 교육 기반을 마련할 계획이다.
디지털 기반 수학·과학 교육 직무 연수, 지능형 과학실 구축 등 교육공동체가 함께 참여하는 미래 역량 중심의 미래 교육을 실현할 예정이다.
2. 독일의 보이텔스바흐 합의 기반, 학생 중심의 자유로운 토론 문화 구축
독일의 보이텔스바흐 합의*를 바탕으로 학생들이 사회 현안에 대해 자유롭게 논쟁할 수 있는 토론 문화를 조성할 계획이다. 상반기에는 언론계, 정치계, 학계 대표 및 교원 단체 대표와 학교 현장의 토론 교육 전문가들로 전담팀(TF)을 구성해 교원 역량 강화 연수를 하고 교사 대토론회 및 경남교육정책포럼을 개최할 예정이다. 하반기에는 2개의 연구회와 4개의 전문적 학습 공동체를 구성하여 현장에서 학생 중심의 자유로운 토론 문화를 구축할 수 있도록 도울 계획이다.
* 독일의 보이텔스바흐 합의 세 가지 원칙
① 강제성의 금지(강압적인 교화 교육 또는 주입식 교육의 금지)
② 논쟁성의 유지(수업 시간에도 실제와 같은 논쟁적 상황을 드러낼 것)
③ 정치적 행위 능력의 강화(학생 자신의 정치적 상황과 이해관계를 고려한 실천)
3. 누구나 즐기고 참여하는 체험 중심의 학교 예술 교육 내실화
학교 현장 맞춤형 예술 교육을 실현하기 위해 학생 오케스트라, 학생 예술 동아리 운영을 내실화한다. 희망하는 학교에 분야별 전문 예술인을 지원해 다양하고 창의적인 예술 교육 기회를 제공하는 학교 예술 강사 사업과 지역 사회의 특색을 반영한 예술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데에 힘쓸 계획이다.
4. 모두가 함께 건강한 급식, 지속 가능한 미래 식생활 실현
질 높은 건강한 급식을 제공하기 위해 물가 상승률을 반영한 식품비를 지원하고 급식소 조리장 환기 시설 등을 개선하여 모두에게 안전한 급식 환경을 조성해 나간다. 지역과 상생하는 ‘백리밥상’*을 개발·보급하고 지속 가능한 식생활을 실천하기 위한 체험 활동 학교와 학교급식연구소 ‘맛봄’의 가정 연계 영양·식생활 체험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이와 같은 건강, 환경, 지속 가능성을 아우르는 학교 급식 정책을 통해 지역 사회가 함께 성장하는 미래를 만들어 갈 계획이다.
* 백리밥상: 시군별 지역 특색이 담긴 백리(40㎞) 이내 지역 식재료를 이용해 학교 급식 식단을 짜는 것
5. 생태학습장 조성 및 (가칭)경남생태환경교육원 설립 본격 추진
유아ㆍ어린이들의 생태 감수성을 높이고 자연 친화적 정서를 키우기 위해 2026년 3월까지 창원 교육 단지 내 생태학습장을 조성할 예정이다. 또 총사업비 195억 4,000만 원을 투입해 현(現) 우포생태교육원을 개축, 재배치하여 2028년 3월 개원을 목표로 (가칭)경남생태환경교육원을 설립하고 경남형 생태전환교육 교육과정을 개발한다.
김정애 미래교육국장은 “개별성과 잠재력을 키우는 미래교육 지원을 강화하여 누구나 즐기고 참여하는 체험 중심의 학교 예술 교육을 펼치겠다”라면서 “또 미래교육과 지역 특색 자원을 활용한 인간과 자연이 공존하는 생태전환교육을 강화하여 학생 개별 맞춤형 미래교육의 모델을 만들겠다”라고 말했다. <끝>
보도자료와 관련하여 보다 자세한 내용이나 취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해주시기 바랍니다.
창의인재과 융합교육담당 장학관 정찬수 ☎210-5131 또는 장학사 황진석 ☎210-5132
미래교육국, 융합교육 강화·자유로운 토론 문화 구축·체험 중심 예술 교육 실현
지속 가능한 미래 식생활 실현·(가칭)경남생태환경교육원 설립 본격 추진
경상남도교육청(교육감 박종훈)은 3일 경남교육청 브리핑룸에서 2025년 미래교육국 업무 설명회를 열고 “경남 미래교육 100년을 준비하기 위한 미래교육 지원을 강화하겠다”라고 밝혔다.
1. 미래를 여는 융합교육 지원 강화
학생들의 디지털 기술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기 위하여 인공지능 교육 체험 프로그램과 인공지능 정보 교육 중심 학교를 운영하고, 창의 융합형 정보교육실을 구축하여 학교 디지털 교육 격차를 해소할 계획이다.
인공지능 디지털 교과서(AIDT, Artificial Intelligence Digital Textbook) 선도학교와 연구학교를 운영하여 교원의 디지털 역량을 강화하고 디지털 교육 전환에 대비하는 교육 기반을 마련할 계획이다.
디지털 기반 수학·과학 교육 직무 연수, 지능형 과학실 구축 등 교육공동체가 함께 참여하는 미래 역량 중심의 미래 교육을 실현할 예정이다.
2. 독일의 보이텔스바흐 합의 기반, 학생 중심의 자유로운 토론 문화 구축
독일의 보이텔스바흐 합의*를 바탕으로 학생들이 사회 현안에 대해 자유롭게 논쟁할 수 있는 토론 문화를 조성할 계획이다. 상반기에는 언론계, 정치계, 학계 대표 및 교원 단체 대표와 학교 현장의 토론 교육 전문가들로 전담팀(TF)을 구성해 교원 역량 강화 연수를 하고 교사 대토론회 및 경남교육정책포럼을 개최할 예정이다. 하반기에는 2개의 연구회와 4개의 전문적 학습 공동체를 구성하여 현장에서 학생 중심의 자유로운 토론 문화를 구축할 수 있도록 도울 계획이다.
* 독일의 보이텔스바흐 합의 세 가지 원칙
① 강제성의 금지(강압적인 교화 교육 또는 주입식 교육의 금지)
② 논쟁성의 유지(수업 시간에도 실제와 같은 논쟁적 상황을 드러낼 것)
③ 정치적 행위 능력의 강화(학생 자신의 정치적 상황과 이해관계를 고려한 실천)
3. 누구나 즐기고 참여하는 체험 중심의 학교 예술 교육 내실화
학교 현장 맞춤형 예술 교육을 실현하기 위해 학생 오케스트라, 학생 예술 동아리 운영을 내실화한다. 희망하는 학교에 분야별 전문 예술인을 지원해 다양하고 창의적인 예술 교육 기회를 제공하는 학교 예술 강사 사업과 지역 사회의 특색을 반영한 예술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데에 힘쓸 계획이다.
4. 모두가 함께 건강한 급식, 지속 가능한 미래 식생활 실현
질 높은 건강한 급식을 제공하기 위해 물가 상승률을 반영한 식품비를 지원하고 급식소 조리장 환기 시설 등을 개선하여 모두에게 안전한 급식 환경을 조성해 나간다. 지역과 상생하는 ‘백리밥상’*을 개발·보급하고 지속 가능한 식생활을 실천하기 위한 체험 활동 학교와 학교급식연구소 ‘맛봄’의 가정 연계 영양·식생활 체험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이와 같은 건강, 환경, 지속 가능성을 아우르는 학교 급식 정책을 통해 지역 사회가 함께 성장하는 미래를 만들어 갈 계획이다.
* 백리밥상: 시군별 지역 특색이 담긴 백리(40㎞) 이내 지역 식재료를 이용해 학교 급식 식단을 짜는 것
5. 생태학습장 조성 및 (가칭)경남생태환경교육원 설립 본격 추진
유아ㆍ어린이들의 생태 감수성을 높이고 자연 친화적 정서를 키우기 위해 2026년 3월까지 창원 교육 단지 내 생태학습장을 조성할 예정이다. 또 총사업비 195억 4,000만 원을 투입해 현(現) 우포생태교육원을 개축, 재배치하여 2028년 3월 개원을 목표로 (가칭)경남생태환경교육원을 설립하고 경남형 생태전환교육 교육과정을 개발한다.
김정애 미래교육국장은 “개별성과 잠재력을 키우는 미래교육 지원을 강화하여 누구나 즐기고 참여하는 체험 중심의 학교 예술 교육을 펼치겠다”라면서 “또 미래교육과 지역 특색 자원을 활용한 인간과 자연이 공존하는 생태전환교육을 강화하여 학생 개별 맞춤형 미래교육의 모델을 만들겠다”라고 말했다. <끝>
보도자료와 관련하여 보다 자세한 내용이나 취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해주시기 바랍니다.
창의인재과 융합교육담당 장학관 정찬수 ☎210-5131 또는 장학사 황진석 ☎210-51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