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담당자 정보
-
- 담당부서홍보담당관
- 전화번호055-278-1793
보도자료
- 이 게시판의 게시글 공개기한은 게시일로부터 3년입니다
경남교육청, 2025년 첫 교육정책관리자회의 개최
- 부서명 정책실
- 등록일시 2025-01-22
경남교육청, 2025년 첫 교육정책관리자회의 개최
도교육청 부서장, 교육장, 직속기관장 ‘올해 달라지는 경남교육’주제로 논의
부서별 교육 정책 소개, 지역 맞춤형 돌봄·경남공동학교 등 지역 현안 공유 등
경상남도교육청(교육감 박종훈)은 22일 오전 경남교육청 강당에서 도교육청 부서장, 교육지원청 교육장, 직속기관장이 참여하는 ‘1월 교육정책관리자회의’를 열었다.
이번 회의는 ‘2025년 달라지는 경남교육’을 주제로 부서별 주요 교육 정책을 소개했다. 또 지방자치단체와 교육지원청이 협업한 새로운 돌봄 정책 모델인 ‘지역 맞춤형 돌봄’, 작은 학교 3~4곳이 교육과정을 함께 운영하는 ‘경남공동학교’, 복합적 어려움이 있는 위기 학생을 조기에 발굴해 지역사회와 함께 지원하는 ‘학생 맞춤 통합 지원’ 등 지역 현안을 공유하고 논의했다.
유아특수교육과에서는 올해부터 장애인 교원을 대상으로 근로 지원인 서비스*를 제공하고, 보조 공학기 구입 등 편의 시설을 지원한다. 또 특수 교육 활동 긴급 치료비를 신설하여 교육활동 중 상해를 입은 특수학교 교직원을 돕는다.
* 근로 지원인 서비스: 중증장애인 근로자가 핵심적인 업무수행 능력을 보유하고 있으나 장애로 인하여 부수적인 업무수행이 어려운 경우 근로지원인을 배치하여 중증장애인의 안정적·지속적인 직업생활을 지원
민주시민교육과에서는 경남형 토론 수업 지원 방안을 마련하여 성숙한 민주 의식을 기르고 학교 교육과정과 연계한 사회정서교육을 강화하여 학생의 올바른 성장을 지원한다.
이 밖에 신설·확대·강조 사업 37건과 새 학년 준비에 필요한 학사·교육 체험 관련 34건 등 총 71건을 안내하였다.
이후 이어진 지역 현안 토의에서는 밀양과 남해에서 추진 중인 ‘지역 맞춤형 돌봄센터’ 구축 현황을 공유하고, 10개 지역에서 선보일 ‘경남공동학교’의 운영 방안을 심도 있게 논의하였다.
박종훈 교육감은 “우리 사회가 직면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교육의 힘이 더욱더 절실한 지금, 각자의 자리에서 최선을 다해주길 바란다”라며 “3월 새 학년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안전, 학사, 연수 등 모든 면에서 빈틈이 없도록 각별한 노력도 해줄 것을 당부한다”라고 말했다. <끝>
이 보도자료와 관련하여 보다 자세한 내용이나 취재를 원하시면
정책실 정책조정담당 장학사 김경화(☎278-1731) 또는 장학관 강진근(☎278-1730)로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도교육청 부서장, 교육장, 직속기관장 ‘올해 달라지는 경남교육’주제로 논의
부서별 교육 정책 소개, 지역 맞춤형 돌봄·경남공동학교 등 지역 현안 공유 등
경상남도교육청(교육감 박종훈)은 22일 오전 경남교육청 강당에서 도교육청 부서장, 교육지원청 교육장, 직속기관장이 참여하는 ‘1월 교육정책관리자회의’를 열었다.
이번 회의는 ‘2025년 달라지는 경남교육’을 주제로 부서별 주요 교육 정책을 소개했다. 또 지방자치단체와 교육지원청이 협업한 새로운 돌봄 정책 모델인 ‘지역 맞춤형 돌봄’, 작은 학교 3~4곳이 교육과정을 함께 운영하는 ‘경남공동학교’, 복합적 어려움이 있는 위기 학생을 조기에 발굴해 지역사회와 함께 지원하는 ‘학생 맞춤 통합 지원’ 등 지역 현안을 공유하고 논의했다.
유아특수교육과에서는 올해부터 장애인 교원을 대상으로 근로 지원인 서비스*를 제공하고, 보조 공학기 구입 등 편의 시설을 지원한다. 또 특수 교육 활동 긴급 치료비를 신설하여 교육활동 중 상해를 입은 특수학교 교직원을 돕는다.
* 근로 지원인 서비스: 중증장애인 근로자가 핵심적인 업무수행 능력을 보유하고 있으나 장애로 인하여 부수적인 업무수행이 어려운 경우 근로지원인을 배치하여 중증장애인의 안정적·지속적인 직업생활을 지원
민주시민교육과에서는 경남형 토론 수업 지원 방안을 마련하여 성숙한 민주 의식을 기르고 학교 교육과정과 연계한 사회정서교육을 강화하여 학생의 올바른 성장을 지원한다.
이 밖에 신설·확대·강조 사업 37건과 새 학년 준비에 필요한 학사·교육 체험 관련 34건 등 총 71건을 안내하였다.
이후 이어진 지역 현안 토의에서는 밀양과 남해에서 추진 중인 ‘지역 맞춤형 돌봄센터’ 구축 현황을 공유하고, 10개 지역에서 선보일 ‘경남공동학교’의 운영 방안을 심도 있게 논의하였다.
박종훈 교육감은 “우리 사회가 직면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교육의 힘이 더욱더 절실한 지금, 각자의 자리에서 최선을 다해주길 바란다”라며 “3월 새 학년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안전, 학사, 연수 등 모든 면에서 빈틈이 없도록 각별한 노력도 해줄 것을 당부한다”라고 말했다. <끝>
이 보도자료와 관련하여 보다 자세한 내용이나 취재를 원하시면
정책실 정책조정담당 장학사 김경화(☎278-1731) 또는 장학관 강진근(☎278-1730)로 문의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