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담당자 정보
-
- 담당자홍보담당관 최진영
- 전화번호055-278-1793
보도자료
- 이 게시판의 게시글 공개기한은 게시일로부터 3년입니다
늘봄학교가 마을교육공동체를 대신할 수 없습니다
- 부서명
- 등록자명 학교혁신과
- 등록일시 2024-11-06 15:48:08
늘봄학교가 마을교육공동체를 대신할 수 없습니다
경남교육청, 마을교육공동체와 늘봄학교 각기 다른 역할과 중요성 강조
경상남도교육청(박종훈 교육감)은 “마을배움터는 학교와 마을의 공존으로 지역 교육력을 높이고 공동체성을 만들어 가는 마을교육공동체이며, 늘봄학교와는 차이가 있다”라고 밝혔다.
경상남도의회 진상락 의원이 5일 열린 제419회 정례회 1차 본회의 5분 자유발언에서 늘봄학교를 마을배움터의 대안으로 제시했다. 그러나 경상남도교육청은 늘봄학교와 마을교육공동체는 직접적으로 비교할 수 없으며 본질적으로 다른 역할임을 강조했다.
교육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하는 마을교육공동체(마을배움터)와 늘봄학교는 교육의 질적 향상과 학생의 전인적 성장에 이바지한다는 공통점이 있으나, 그 목적과 운영 방법에서 분명한 차이가 있다.
마을교육공동체는 학교와 마을이 학생을 함께 키우고 배움터가 되도록 학교와 마을, 교육청과 지방자치단체, 학부모와 지역사회가 협력하고 연대하는 공동체를 의미한다. 경상남도교육청에서 운영하는 마을교육공동체 사업은 대표적으로 미래교육지구와 행복마을학교가 있다.
미래교육지구는 마을의 다양한 교육 자원을 학교 교육과정과 연계한 마을 연계 교육과정, 지역 맞춤형 특색 사업과 지역 연계 체험 활동 그리고 방과 후 또는 주말에 학교와 마을에서 다양한 활동을 하는 마을 배움터 등이 있다.
마을배움터는 주중 방과 후나 주말에 초·중·고등학생과 지역민이 모두 참여하며 마을을 기반으로 활동을 운영한다. 마을 탐방, 생태 탐구, 문화 예술, 드론, 놀이, 체육 등 다양한 활동을 학생들이 기획하고 운영하고, 지역민의 배움이 학생 활동 지원으로 선순환할 수 있도록 학교와 마을이 함께 소통하고 배움이 일어나는 공간이다.
반면, 늘봄학교는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학교 안에서 저학년의 돌봄 공백 해소를 위한 ‘초등돌봄교실 운영’, ‘저학년 맞춤형 프로그램’과 일반 ‘방과 후 학교’ 프로그램으로 구성된다. 프로그램은 수요자 요구에 따라 개설되며 보드게임, 놀이 한글, 요리 교실 등 다양하다.
늘봄학교는 올해 1학기 시범 운영 후 2학기부터 모든 초등학교로 전면 확대하는데 현재 많은 초등학교에서 공간의 한계로 수용 인원도 포화 상태다.
김보상 학교혁신과장은 “마을교육공동체는 학교와 마을의 협력으로 지역 상생을 도모하고, 지역 내 교육 자원을 공유·연결하여 교육의 질을 높이는 데 크게 이바지한다”라면서 “마을배움터는 중·고등학생을 포함한 다양한 연령대의 학생들에게 맞춤형 경험을 제공하는 데 필수적이다”라고 말했다.
신현인 초등교육과장은 “늘봄학교는 기존의 초등학교 돌봄교실과 방과 후 학교를 통합 확대한 정책으로 주중 방과 후에 학교 안에서 학생들의 돌봄 및 특기 적성 함양에 중점을 둔 사업이다”라며 “마을배움터는 학교와 지역에서 초등학생뿐 아니라 중·고등학생들에게 주말 또는 휴일에도 다양한 체험 활동 기회를 준다. 마을배움터가 학생들의 프로그램 선택의 폭을 넓힌다는 측면에서 그 중요성이 크다”라고 말했다.
마을교육공동체의 마을배움터는 학생들이 마을의 안전한 관계망 속에서 마을을 이해하고 마을 어른들과 교류하는 장으로 역할을 하며, 마을과 함께 성장할 수 있는 중요한 교육 플랫폼으로 자리 잡고 있다. <끝>
보도자료와 관련하여 보다 자세한 내용이나 취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해주시기 바랍니다.
학교혁신과 마을교육공동체담당 장학관 이종국 ☎268-1521 또는 장학사 김성준 ☎268-1522
경남교육청, 마을교육공동체와 늘봄학교 각기 다른 역할과 중요성 강조
경상남도교육청(박종훈 교육감)은 “마을배움터는 학교와 마을의 공존으로 지역 교육력을 높이고 공동체성을 만들어 가는 마을교육공동체이며, 늘봄학교와는 차이가 있다”라고 밝혔다.
경상남도의회 진상락 의원이 5일 열린 제419회 정례회 1차 본회의 5분 자유발언에서 늘봄학교를 마을배움터의 대안으로 제시했다. 그러나 경상남도교육청은 늘봄학교와 마을교육공동체는 직접적으로 비교할 수 없으며 본질적으로 다른 역할임을 강조했다.
교육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하는 마을교육공동체(마을배움터)와 늘봄학교는 교육의 질적 향상과 학생의 전인적 성장에 이바지한다는 공통점이 있으나, 그 목적과 운영 방법에서 분명한 차이가 있다.
마을교육공동체는 학교와 마을이 학생을 함께 키우고 배움터가 되도록 학교와 마을, 교육청과 지방자치단체, 학부모와 지역사회가 협력하고 연대하는 공동체를 의미한다. 경상남도교육청에서 운영하는 마을교육공동체 사업은 대표적으로 미래교육지구와 행복마을학교가 있다.
미래교육지구는 마을의 다양한 교육 자원을 학교 교육과정과 연계한 마을 연계 교육과정, 지역 맞춤형 특색 사업과 지역 연계 체험 활동 그리고 방과 후 또는 주말에 학교와 마을에서 다양한 활동을 하는 마을 배움터 등이 있다.
마을배움터는 주중 방과 후나 주말에 초·중·고등학생과 지역민이 모두 참여하며 마을을 기반으로 활동을 운영한다. 마을 탐방, 생태 탐구, 문화 예술, 드론, 놀이, 체육 등 다양한 활동을 학생들이 기획하고 운영하고, 지역민의 배움이 학생 활동 지원으로 선순환할 수 있도록 학교와 마을이 함께 소통하고 배움이 일어나는 공간이다.
반면, 늘봄학교는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학교 안에서 저학년의 돌봄 공백 해소를 위한 ‘초등돌봄교실 운영’, ‘저학년 맞춤형 프로그램’과 일반 ‘방과 후 학교’ 프로그램으로 구성된다. 프로그램은 수요자 요구에 따라 개설되며 보드게임, 놀이 한글, 요리 교실 등 다양하다.
늘봄학교는 올해 1학기 시범 운영 후 2학기부터 모든 초등학교로 전면 확대하는데 현재 많은 초등학교에서 공간의 한계로 수용 인원도 포화 상태다.
김보상 학교혁신과장은 “마을교육공동체는 학교와 마을의 협력으로 지역 상생을 도모하고, 지역 내 교육 자원을 공유·연결하여 교육의 질을 높이는 데 크게 이바지한다”라면서 “마을배움터는 중·고등학생을 포함한 다양한 연령대의 학생들에게 맞춤형 경험을 제공하는 데 필수적이다”라고 말했다.
신현인 초등교육과장은 “늘봄학교는 기존의 초등학교 돌봄교실과 방과 후 학교를 통합 확대한 정책으로 주중 방과 후에 학교 안에서 학생들의 돌봄 및 특기 적성 함양에 중점을 둔 사업이다”라며 “마을배움터는 학교와 지역에서 초등학생뿐 아니라 중·고등학생들에게 주말 또는 휴일에도 다양한 체험 활동 기회를 준다. 마을배움터가 학생들의 프로그램 선택의 폭을 넓힌다는 측면에서 그 중요성이 크다”라고 말했다.
마을교육공동체의 마을배움터는 학생들이 마을의 안전한 관계망 속에서 마을을 이해하고 마을 어른들과 교류하는 장으로 역할을 하며, 마을과 함께 성장할 수 있는 중요한 교육 플랫폼으로 자리 잡고 있다. <끝>
보도자료와 관련하여 보다 자세한 내용이나 취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해주시기 바랍니다.
학교혁신과 마을교육공동체담당 장학관 이종국 ☎268-1521 또는 장학사 김성준 ☎268-15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