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군 '위안부'역사
일본군 '위안부'제도의 역사적 배경
근대 천황제 국가를 수립하고 대륙 침략의 꿈을 키우던 일제는 1929년에 경제 공황을 맞아 이를 극복하기 위해 본격적인 전쟁 체제로 돌입하였다. 1931년 만주사변과 1937년 중일전쟁을 일으키면서 대륙 침략을 시작했고, 1941년에는 진주만을 기습 공격하고 태평양전쟁을 도발하여 제2차 세계대전으로 나아가게 되었다.
1932년 만주국 수립 이후 일제는 이미 만주에 일본군을 위한 위안소 경영을 허용하고 있었으며, 1932년 상해에서는 일본 해군이 위안소를 설치하여 관리하였다. 중일전쟁 이후 1937년 말 난징 점령 때 일본군이 대대적으로 민간인을 학살하고 여성들을 강간하였다. 이에 대한 국제적인 비난이 일어나자 일제는 일본군의 성을 체계적으로 관리할 필요를 느꼈다.
전쟁이 확대되고 장기전으로 들어가자, 일제는 강간과 성병 확산을 막을 필요성이 더욱 절실해졌고, 이에 따라 일제는 군위안소 제도를 확대하기에 이르렀다. 군위안소 제도의 설립은 군의 사기 진작 등 효과적인 군사 활동을 꾀하려는 또 다른 중요한 목적에서 비롯된 것이기도 하다. 이런 배경에서 설립한 일본군 위안소 내에서 이루어진 강간 행위는 강제로 '위안부' 피해자가 된 수많은 여성들에 대한 성폭력으로 여성을 비인간화하였다.
-
중국 상해에 있던 위안소 전경
-
위안소 출입증
-
나무 막사로 지어진 상해 육군 오락소
-
위안부가 쓰던 방
위안소 생활
위안소는 군이 직접 설립, 경영했으며 민간에게 위임하기도 하였다. 민간 운영의 위안소는 군대의 보호, 감독 및 엄격한 통제를 받았다. 일본군 위안소 생활은 기본적으로 군에서 제정한 '위안소 이용 규칙'에 따라 통제되었다.
규칙에는 군인을 상대하는 시간과 상대해야 할 군인의 숫자, 요금, 성병 검진, 위생 상태 등에 대해 세세하게 규정되어 있었다. 장교용과 사병용의 위안소가 달리 정해지기도 했고, 군인의 계급에 따라 낮에는 사병, 저녁에는 하사관, 밤에는 장교가 이용하도록 하기도 하였다. 위안소 건물은 현지 시설을 이용하기도 했고 군이 새롭게 짓거나 건물을 대여 하기도 했다. 피해 여성들은 대개 위안소에서 생활했고 군의 필요에 의해 다른 부대나 지역으로 이동하기도 했다.
'위안부' 피해자들은 규칙과 상관없이 군인을 상대해야 했으며, 군인의 요구를 거부하기라도 하면 매질을 당하거나 심지어 살해를 당하는 경우도 있었다. 규정상 군'위안부'를 구타하는 것은 금지되어 있었으나 군인이나 관리자들의 폭행은 공공연하게 일어났다. 실제로 피해자들은 그때의 상처를 간직하고 있으며 '위안부'생활에 의한 후유증을 호소하고 있다.
일본군 '위안부'제도의 성격
일본군 '위안부' 제도는 성(gender), 민족, 계급의 문제가 복합적으로 얽힌 불평등과 억압의 문제이다.
일본군 '위안부' 제도는 성 차별의 문제이다. 남성 중심의 가부장제에서 이루어진 성의 이중규범이 그 근본적 배경으로, 여성을 성적인 노예로 동원하여 성을 도구화, 대상화하고 여성을 구속하였다. 대개의 경우 군표 등의 대가를 지불하는 형식을 취함으로써 군'위안부'를 이용한 군인도 공창을 이용할 뿐 자신이 폭력을 행사한다는 사실을 의식하지 못하게 폭력을 조직화하였다. 일본에서 주장하는 이러한 상행위라는 인식의 바탕에는 여성 차별 사상이 자리하고 있는 것이다.
또 하나는 민족의 문제이다. 일제 식민지였던 조선의 어린 여성들을 침략 전쟁의 도구로 동원하여 일본군의 성노예화 한 것은 제국주의적 식민통치에 의한 성폭력이며, 민족적 억압과 착취에서 비롯된 것이다.
일본군 '위안부'는 계급 차별의 문제이기도 하다. 조선의 군'위안부'는 거의 모두 가난하고 학교 교육을 제대로 받지 못한 농촌 출신의 여성들을 취업 사기나 유괴, 납치 등의 방법으로 끌고 갔다. 이들은 대부분 가난하고 힘없는 하층 계급의 여성들이었다.